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 출처 : 빅퀘스천 유튜브
 
 



 

✓ 왜 어금니가 20개일까? 씹으라는 것. 이 것이 인간의 기본이다.

✓ 위를 만족시키는 양적식사가 아니라 장을 만족하는 질적 식사로 패턴을 바꿀 때다.

 
 
 


사람의 몸을 분석해 보면 화학적 성분이 토양, 흙 하고 매우 유사하다.
우리 인체의 액체 성분을 분석해 보면 바닷물의 성분과 아주 유사하다.
그 얘기는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인 것이다.  인간을 일컬어 흙집이다라고 한다.
사람은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 
▶사람은 반드시 흙으로부터 영양 성분을 공급받아야지만 살 수 있는 그런 존재이다.
 
식물은 흙속에 뿌리를 내리고 인간에게 필요한 영양성분을 잎, 열매, 줄기에다가 농축해서
우리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먹거리가 존재하는 이유는 인간들에게 흙속에 있는 영양성분을 공급해 주기 위해 존재한다.
 
 
원래 먹거리는 인간에게 영양 성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이었는데
식품 산업의 시작과 함께 돈벌이로 바뀌어
모든 먹거리가 돈 벌 수 있는 수단으로 깨끗하고 먹음직스러운 상태로 만들고 있다.
 
<예를 들면>
곶감은 원래 겉이 까맣고 하얀 분이 나오는 것이 정상이지만
사람들은 그런 상품은 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산화황을 바르고 곶감색을 변하지 않게 한다.
이산화황은 우리 몸속에 들어가면 안 좋을 수 있는데 물에 쉽게 녹기 때문에
빨간색 곶감이 있다면  물에 세척해서 먹는 것이 좋다.
무말랭이 같은 말린 채소들도 물에 충분히 담가서 이산화황을 빼고 먹는 것이 좋다.
 
 
우리 인체가 가지고 있는 면역력은 강하다.
그러나 장기간 나쁜 먹거리가 들어오면 몸을 해칠 수 있다.
매일 먹고 있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우리 몸이 결정된다.
 

반응형

✓기본을 회복하자.

식물의 기본은 인간에게 올바른 먹거리를 공급해 주는 것인데
식물이  돈벌이 수단으로 변질되면서  인간한테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 인간의 기본은?
입속의 치아는 모두 32개, 송곳니 4개, 앞니, 8개 , 어금니 20개 
왜 어금니가 20개나 있을까? 씹으라는 것 
20개를 활용해서 음식을 씹어 먹어야 한다.
그것이 인간의 기본이다.
아밀라아제는 침 속에만 있어서 씹어야 나온다.
 

인간의 기본은 씹는 것이다.
장을 만족하는 질적 식사로 바꿔야 한다.
천천히 먹은 음식이 오히려 약이 된다.

 
 
 
 
인체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 물
빠져나간 물만큼 채워 주는 것이 기본이다.
모든 병의 시작은 물부족으로 시작
 

▶하루에 물을 먹는 양?

 

하루 물 2L 꼬박꼬박 먹으면 그것이 더 해로울 수 있다.
화장실에 갔을 때 소변색이 노랗다면 물을 먹어달라 하는 것
물이 부족해서 나는 노란색은 누런 노란색, 비타민 먹었을 때 밝은 노란색
 
물을 많이 먹었을 때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 있다.
내가 물을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소변 색깔이 노란색이 사라지고 투명한 색이면 물을 먹지 않는다.
물의 양은 소변색으로 안다. 얇은 노란색이 유지되도록 먹으면 전혀 문제가 없다.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선 안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자연의 법칙에 순종하는 방법으로 기본을 회복하는 것

우리의 원래 모습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
 
인간의 기본은 씹는 것인데
오래 씹어 먹는 것이 쉽지 않아요.
적게 먹더라도 꼭꼭 오래 씹어 먹기
식구들과 연습해야겠어요.
 
 꼭꼭 씹어서 장이 만족하는 질적 식사해 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